옴니채널 도매 마켓메이커 ANDMORE, COLLINS

2024년 7월 22일 월요일

andmore의 지류 어플리케이션
andmore의 지류 어플리케이션
andmore의 지류 어플리케이션

옴니채널 도매 마켓메이커 ANDMORE, COLLINS

@COLLINS, https://www.wearecollins.com/work/andmore/

ANDMORE는 가구, 홈 데코, 선물 및 의류 산업 전문 마켓입니다. 콜린스에서 International Market Centers(IMC)의 오프라인 마켓을 온라인 사업으로 확장하는 전략에 맞추어 ANDMORE로 새롭게 리브랜딩하였습니다.


가장 먼저 보이는 로고타입 모션을 살펴보면, MORE의 O가 확장되어 괄호()의 형태로 바뀌면서 로고타입으로 정립됩니다. 괄호로 확장되며 생긴 여백 안으로 텍스트들이 추가됩니다. O에서 괄호로 확장되는 표현이 직관적이고 흥미롭습니다.

괄호 안에 차례대로 나타나는 텍스트는 판매하고 있는 상품의 종류로 보여집니다. 만들어진 여백 안으로 텍스트나 이미지를 넣는 표현은 다른 브랜딩 프로젝트에서도 자주 볼 수 있는 방식이긴 하지만, 많은 제품군을 구매할 수 있는 플랫폼인 점과 ANDMORE 네이밍이 가지고 있는 단어의 뜻과도 잘 어울리는 표현 방식이라 생각합니다.

Interview check
  • International Market Centers(IMC)는 물리적 마켓플레이스 사업을 Juniper 디지털 제품과 통합하고, 옴니채널 도매 마켓메이커 인 ANDMORE 로 리브랜딩합니다.
  • 모든 채널을 단일 브랜드 경험으로 정리하고, 물리적 및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도매 구매자와 판매자를 연결하는 것을 목표로 정했습니다.


andmore 브랜드 이미지andmore 브랜드 이미지

이 프로젝트에서 가장 인상깊은 점은 타이포그래피와 색상입니다. 일단 타이포그래피부터 살펴보면, 한 눈에 봐도 엄청 두꺼운 웨이트로 로고타입을 구성하였습니다. 자간도 최소한의 가독성을 유지한 채 각 철자가 거의 붙어있는 정도로 조정되었습니다.

이렇게 두껍게 웨이트를 가져간 이유를 두 번째 이미지에서 유추해볼 수 있습니다. 앤드모어는 여러가지의 제품군을 모아 판매하는 마켓입니다. 이러한 마켓 안에는 다양한 물성과 조형이 다른 제품들이 많이 있습니다. 이러한 제품들의 조형이나 외곽라인, 덩어리, 형태감을 타이포그래피로 표현하고자 함이 아니었을까 생각합니다.

가설 1. 볼드한 타이포그래피는 제품들의 덩어리, 형태감을 표현한 것이 아닐까?

이와 대비되어 본문용 폰트로는 코딩이나 디스플레이에서 주로 사용하는 고정폭(모노스페이스)폰트를 사용했습니다. 흔히 이런 고정폭 폰트는 판독성이 중요한 코딩, 영수증, 바코드, 제품 관리 번호 등에 주로 사용됩니다. 이러한 특성을 빌려와서 제품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목적으로 해당 폰트를 사용하지 않았을까 합니다. 위 이미지에서는 판매하고 있는 제품군(카테고리)이 나열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능적인 차이 외에도 시각적으로도 굵기가 대비되어 안정감을 주고 있습니다.


웹사이트에서도 볼드하고 큰 타이포그래피로 화면을 채우고 있습니다. 글자 사이로 제품들이 나오면서 하나의 완성된 비주얼로 정립됩니다. 이러한 표현은 다양하고 개성있는 제품들을 구매할 수 있다는 인상을 전달해주고 있습니다.


andmore 브랜드 어플리케이션 이미지andmore 브랜드 간판 어플리케이션

브랜드 어플리케이션에서도 볼드한 타이포그래피는 그대로 적용됩니다. 쇼핑백에서 재밌는 포인트는 괄호의 여백을 구멍을 뚫어 손잡이(구멍)로 활용한 점입니다. 물건(제품)을 담는 쇼핑백의 기능적 특성과 텍스트를 담는 괄호의 특성이 연결되어 더욱 위트있는 아이디어로 느껴졌습니다. 마찬가지로 괄호라는 컨셉 또한 여러 제품들이 모여있는 마켓을 나타내는 데 적합한 컨셉이라 생각합니다.


andmore 브랜드 어플리케이션 이미지입니다andmore 브랜드 어플리케이션 이미지입니다andmore 브랜드의 지류 어플리케이션 이미지입니다

두 번째로 브랜드 색상입니다. 채도가 높은 블루 컬러와 오렌지 컬러를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메인 색상 외에도 핑크나, 그린 계열의 색상을 포인트 컬러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인상깊게 봤던 점은 색상을 사용할 때 서로 반대되는 색상의 조합을 사용하면서 가시성과 주목성을 높이고 있는 점입니다. 이러한 색상에서의 대비는 폰트 간의 대비와 더불어 통통 튀고 다채로운 인상을 전달해줍니다.

이러한 표현들이 연결되어, 마치 앤드모어에서는 힙하고 개성있는 다양한 제품들을 구매할 수 있다고 얘기하는 느낌입니다.


andmore 브랜드의 외부 사인물 어플리케이션 이미지입니다andmore 브랜드의 키비주얼 이미지입니다.


글 마무리

해당 작업에 대한 인터뷰나 작업자의 코멘트를 찾아볼 수 없어서, 분석하면서 세운 가설들을 직접 확인해볼 순 없었습니다. 다만, 브랜드를 위한 폰트를 세팅할 때 생각해볼만한 점은 찾을 수 있었습니다. 만약 브랜드가 해당 브랜드를 대표할만한 물리적인 요소들(제품 등)을 가지고 있다면 해당 요소의 조형적인 특징을 기반으로 폰트를 선택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인사이트 및 연습방법

연습 1. 조형적인 특성을 기반으로 타입세팅 해보기 (ex. 소나무)


🔗 글이 좋았다면 링크로 공유해보세요

Designsp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