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m Form, 아날로그에서 받은 시각적 영감들

2023년 11월 10일 금요일

From.form은 2013년 Ashley Govers와 Jurjen Versteeg가 설립한 영화와 디자인을 위한 독립적인 크리에이티브 스튜디오입니다.


From Form 스튜디오는 색상과 영화 타이포그래피에 대한 그들의 사랑을 포착하는 신선한 맞춤형 룩을 만들고 싶었습니다. , 그리고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미학. Ashley + Jurjen은 스튜디오의 모든 영화, 디자인, 애니메이션 및 사진 프로젝트를 하나로 묶는 시각적 언어를 만들었습니다.


위 모션 그래픽을 보고 나서 바로 궁금함이 생겼습니다. 왜 모든 단어와 글줄들을 양끝에 맞춰 정렬시켰을까? 그렇게 한 의도가 있을까?


저는 그런 의도에는 From Form 이라는 네이밍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Form의 뜻과 함께 유추해봤을 때, 저는 이 스튜디오는 형태, 규격, 틀을 중시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습니다.디자인이나 영상 작업 프로세스에 있어 꼭 지켜야 될 규칙과 기본을 유지해나가면서 다채로운 작업들을 해나가는 것을 시각적으로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가설 1. 이 브랜드는 형태, 규격, 틀을 중시할 것이다.
가설 2. 단어들이 양 끝으로 배치되면서 한 줄의 공간(규격)으로 보여지기를 원했을 것이다.
가설 3. 다양한 컬러를 사용함으로써 다양하고 넓은 스펙트럼을 보여주고 싶었을 것이다.



디스크립션 작성 후, 찾아본 디자이너의 의도

하지만, 이러한 디스크립션을 작성하고 나서 찾아본 인터뷰 내용은 제가 세운 가설과는 많이 다릅니다.


2013년에 스튜디오를 세운 두 사람은 필름과 그래픽 디자인의 접점인 영화 속 타이틀 디자인에 무한한 매력을 갖고 있었다고 합니다. 이는 스튜디오의 시각적 언어를 디자인하는 자연스러운 출발점처럼 느껴졌습니다. 영화 애호가로서 우리는 장 뤽 고다르(Jean-Luc Godard)가 영화에서 사용하는 타이포그래피와 간격에 영감을 받았습니다.
-인터뷰 내용

위와 같은 이유로 필름과 그래픽 디자인이 만나는 접점인 타이틀 디자인에서부터 시작하였다고 합니다. 양 끝으로 정렬되고 단어 간격이 넓은 타이포그래피도 장 뤽 고다르의 영화 속에서 모티브를 얻었다고 하네요.


-그래서 찾아본 장 뤽 고다르의 영화에서 사용된 타이포그래피



웹사이트 속 타이포그래피

웹사이트에도 동일한 타이포그래피가 적용되어졌습니다. 여기서 또 하나의 궁금한 점이 생겼습니다. 본문용 폰트는 왜 저 형태의 폰트를 사용했을까?


코딩이나 프로그래밍 폰트의 느낌을 가진 폰트를 사용했습니다. 조화보다는 가독성이나 명시성을 더 중요시 한 고정폭 폰트로 보여집니다. 제가 생각한 가설은 이렇습니다.

가설 1. 영화 필름이나 아날로그 사진에 들어가는 글자에서 영감을 얻었을 것이다.



실제 제작자의 의도와 비교

그럼 남은 인터뷰를 보면서, 실제 제작자의 의도와 비교해보겠습니다.


From Form에 따르면 이러한 타이틀은 “영화와 아날로그 디자인의 세계가 만나는 예술 형식”을 예시합니다. 스튜디오의 영화 제목에 대한 집착은 주로 타이포그래피가 약간 이상하고 아날로그 디자인 프로세스의 뉘앙스로 인해 글자체의 간격과 크기에 미묘한 결함이 있는 방식에 기인합니다.


기타 주요 참고 자료로는 소책자, 잡지, 매뉴얼 등 같은 시대의 인쇄물이 있습니다. 1960년대와 70년대의 Bolex 카메라와 관련된 인쇄물은 특히 영감을 주었으며, From Form에서는 오래된 Bolex 설명서와 1950년부터 1974년까지 발행된 브랜드의 전당포 잡지인 Bolex Reporter를 참조했습니다.


새로운 브랜딩에는 카메라 뷰파인더를 통해 보는 것처럼 이미지를 마스크하기 위해 둥근 모서리가 있는 모양을 사용하는 등 아날로그 디자인 프로세스에 대한 시각적 참조가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다른 곳에서는 고정폭 글꼴이 빈티지 타자기를 참조합니다.
-인터뷰 내용

정리해보면, 이 스튜디오는 필름과 그래픽 디자인에 있어 아날로그적인 작업 방식과 형태를 중요시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가치와 철학을 시각적으로 녹이기 위해 고전 영화의 타이틀, 인쇄물, 카메라 뷰 파인더, 빈티지 타자기 등에서 시각적 요소를 정립했습니다.


From Form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이자 공동 창립자인 Govers는 "아날로그 기술의 사용은 우리 프로젝트뿐만 아니라 그에 수반되는 질감과 불완전함에도 필수적입니다."라고 말합니다. "우리는 아날로그에 대한 사랑을 보여주고 시간의 녹청을 포용하는 아이덴티티를 만들고 싶었습니다."



글 마무리

처음 제가 생각했던 가설들은 많이 빗나갔지만, 가치나 생각을 어떻게 시각적으로 풀어낼 수 있을 지에 대해 한번 더 배울 수 있었습니다.


Form이 단순히 형태, 규칙, 틀을 넘어 전통적으로 내려오며 갖춰진 '아날로그'를 뜻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렇게 보면 또 제가 생각했던 가설이 완전히 틀린 것은 아닐 수도 있겠네요😅


인사이트 및 연습방법

연습 1. 고유한 철학과 생각을 지녀온(특징이 강한) 타이포그래피의 방식을 가져오기

연습 2. 큰 줄기의 방향을 정한 다음, 함께하는 시각적 요소를 찾아내기 (아날로그 : 카메라 뷰 파인더, 타자기, 고전 인쇄물 등)

연습 3. 레퍼런스를 다양한 곳에서 얻기 (과거, 인쇄물, TV에 사용된 타이포그래피)






🔗 글이 좋았다면 링크로 공유해보세요

Designsp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