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형적인 특성을 기반으로 타입세팅 해보기 (ex. 소나무)

2024년 7월 26일 금요일

조형적인 특성을 기반으로 타입세팅 해보기 (ex. 소나무)

사용툴: Photoshop / Indesign


ANDMORE 브랜드 분석에서 얻은 인사이트를 기반으로 진행한 연습방법입니다. 소나무가 가지고 있는 조형적인 특성을 파악하고, 그에 어울리는 폰트들로 조판해보는 연습을 진행했습니다.

소나무는 조형적인 특성 외에도 그 자체로 생각나는 인상과 분위기가 비교적 뚜렷한 식물입니다. 굳은 기개, 뻗음, 장수 등 많은 추상적인 표현이 먼저 떠오릅니다. 그렇지만 이번 연습에는 이러한 추상적인 표현은 제외하고, 오로지 조형적인 특성만을 기반으로 조판을 해봤습니다.


먼저 소나무가 가진 다양한 모습들을 살펴봤습니다. 멀리 본 모습, 가까이 본 모습으로 나누어 자세히 관찰하고 특징들을 나열하였습니다. 제가 찾은 특징들 중 폰트에 대입할 수 있는 특징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특징 1. 휘어짐이 있는 곡선
특징 2. 굵은 웨이트
특징 3. 뾰족한 잎


(이미지 출처: djr)

1. 라틴 알파벳 폰트
정해진 특징들을 기반으로 고른 라틴 알파벳 폰트는 djr사의 Roslindale 폰트입니다.
참고: https://djr.com/roslindale

우선 휘어짐의 정도가 유사했고, 특히 곡선(bowl)에서의 획 대비나 손으로 그린듯한 모습이 소나무가 가지고 있는 곡선들과 비슷해보였습니다. 또한 끝 부분이 뾰족하게 다듬어져있는 모습은 소나무 잎의 뾰족한 부분과 유사하다고 판단했습니다. 조판을 위한 굵기로 Bold와 Regular 2가지 굵기를 선택했습니다.


(이미지 출처: 직지소프트)

2. 한글 폰트
다음은 한글 폰트입니다.
Roslindale 폰트와 함께 사용할 한글 폰트로는 SM3견출명조를 선택했습니다. 소나무의 조형적인 특성을 기준으로 고른 Roslindale 폰트와 함께 사용했을 때도 잘 어울릴 수 있는 지를 기준으로 선택했습니다. 견출명조보다 소나무의 조형적인 특성들과 더 닮은 폰트들이 있었지만 본문용으로는 부적합하였기 때문에 제외했습니다.



3. 결과물
고른 폰트들을 사용해서 할 수 있는 만큼의 기본 조판까지만 간단히 완성하고 마무리했습니다.
(자세히보기)


🔗 글이 좋았다면 링크로 공유해보세요

Designspark